티스토리 뷰
목차
가위에 눌렸을 때 빠져나오는 방법 3가지입니다. 보통 사람들도 가끔 가위에 눌리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 가위에 눌리는 것은 수면 중 뇌만 깨어난 상태를 말합니다. 가위에 눌렸을 때에는 가장 빠르게 빠져나오는 방법은 주변 사람이 깨워주는 것입니다. 하지만 아무도 없거나, 가위눌린 것인지 모른다면 어렵습니다. 아래에서 새로운 방법과 원인, 예방법까지 알아가실 수 있습니다.
가위에 눌리다는 표현은?
우리가 평소에 '가위에 눌리다'라는 표현을 하는데 이때 가위는 종이를 자르는 가위를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고 가운데를 뜻하는 순우리말 가위입니다. 추석을 말하는 '한가위'에서 가위와 동일한 뜻입니다.
가위눌림 원인은?
가위에 눌리는 원인은 여러가지일 수 있습니다. 먼저 가위에 눌리는 것은 수면 중에 뇌만 깨어난 상태를 말합니다. 통상적으로 가위에 눌렸다고 하면 귀신 때문이라는 미신을 믿으시는 분들도 계시고 다른 병이 있어서 그런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을 하는 분들도 계십니다.
하지만 가위에 눌리는 현상에 정상인들의 약 50% 정도가 언제든지 겪을 수 있는 현상이라고 합니다. 몸이 피곤하거나, 스트레스가 많이 쌓인 경우 수면 중에 뇌와 몸이 함께 깨어나야 되는데, 뇌만 깨어난 상태에서 내 몸을 내가 컨트롤할 수 없는 상황이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가위에 눌리는 것을 너무 두려워하거나,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정상인들에게도 상황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가위에 눌렸을 때 소리는 주변 소리를 모두 들을 수 있습니다. 뇌는 깨어난 상태이기 때문에 주변 사람들이 하는 말소리, 그리고 주변환경의 소리까지 모두 들을 수 있습니다. 몸만 움직이지 않는 상태인 것입니다.
그럼 아래에서 가위에 눌렸을 때 대처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가위에 눌렸을 때 빠져나오는 방법
가위에 눌렸을 때 빠져나오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아래에서 각 방법마다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요.
1. 주변 사람이 깨워준다
가장 빠른 방법은 주변 사람이 꺠워주는 것입니다. 다른 사람이 내 이름을 부르거나, 몸을 흔들어서 깨워준다면 가장 빠르게 깨어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위에 눌렸다는 것을 옆에 있는 사람이 알아차리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내가 가위에 잘 눌리는 편이라면 함께 생활하는 가족에게 알리고, 주기적으로 체크해 주는 것을 부탁하는 것이 좋습니다.
2. 말초신경인 손가락, 발가락을 움직인다.
두 번째 방법은 손가락과 발가락을 천천히 움직이는 것입니다. 가위눌림 현상이 수면상태에서 뇌만 먼저 깬 것인데, 이때 몸이 마비가 된 것처럼 느끼는 것은 수면중에 뇌만 깨어났고, 몸은 아직 깨어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이 때 손가락과 발가락은 덜 이완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몸 전체를 움직이는 것보다는 손가락과 발가락을 움직이는 것이 훨씬 수월합니다.
가위눌림은 보통 급격히 시작되어 약 1 ~ 4분간 지속됩니다. 이 때 몸 전체를 움직이려고 노력할수록 몸이 더 움직이지 않고 그 현상이 지속되면 정신적으로 공포감이 생기면서 가위눌림 현상이 풀리지 않습니다. 손가락과 발가락을 천천히 움직이기 시작하고, 심호흡을 하면서 시간이 지나면 가위눌림에서 쉽게 빠져나올 수 있습니다.
3. 기침을 시도한다.
세 번째 방법은 기침을 시도하는 것입니다. 가위눌림 상태에서도 호흡이나 기침은 조절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심호흡을 가다듬고 천천히 몸을 이완시키는 방법도 좋고, 기침을 시도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기침을 한 번만 할 수 있다면 생각보다 빠르게 가위눌림에서 빠져나올 수 있습니다.
가위눌림 예방하는 방법
그렇다면 이런 가위눌림을 사전에 예방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가위눌림은 보통 피로나 스트레스 때문에 생긴다고 합니다. 하지만 유난히 가위눌림을 자주 경험하시는 분들이 계시기 때문에 좀 더 다른 방법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병원에서는 일반적으로 가위눌림이 1주일에 한번 또는 두 번 이상이라면 다른 요인은 없는지 검사를 해보라고 합니다. 그런데 주 1 ~ 2회 미만인 경우에는 평소에 수면의 질을 높이는 방법을 추천합니다.
평소 수면의 질을 높이는 방법은 카페인이나 알코올 섭취를 줄이고 우리 몸 안의 수면제라 불리는 '세로토닌'을 생성해 주는 키위나 바나나를 섭취하는 방법입니다.
가위 안 눌리는 자세
가위 안 눌리는 자세는 옆으로 누워자는 것입니다. 가위는 높은 확률로 똑바로 누운 자세에서 발생합니다. 가위에 눌려본 경험이 있는 사람들 대부분은 똑바로 누운 자세에서 가위에 눌렸으며, 가위에 눌려본 경험이 있으신 분들도 생각해보시면 대부분 똑바로 누운 자세일 것입니다.
따라서 가위에 안눌리는 자세는 옆으로 누워자거나, 엎드려 자는 방법이 있습니다. 물론 수면에 들어가면 몸을 뒤척이기도 하고, 좌우로 돌아가면서 잘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가위에 너무 자주 눌리는 사람이라면 일부러, 습관적으로라도 옆으로 누워자도록 노력해 보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고지혈증약 복용 후기(매일 잊지 않고 먹는 꿀팁 공유!!)
고지혈증 약 복용 후기입니다. 저는 1년 전부터 고지혈증 약을 먹고 있습니다. 콜레스테롤이 높은 수치가 나오면서 병원 진료를 가니, 의사 선생님께서 비만이 아닌데 콜레스테롤이 높다면 약을
datemap.tistory.com
2025 긴급돌봄 지원사업 대상 부담비용 신청방법
2025 긴급 돌봄 지원사업 대상 부담비용 신청방법입니다. 긴급 돌봄 지원사업은 갑작스러운 질병이나 수술, 부상 등으로 주 돌봄 자가 부재 시 돌봄을 지원해 주는 사업입니다. 기초생활수급자와
goodstate.tistory.com
'생활에 꼭 필요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봄맞이 숙박세일 페스타 3만원 쿠폰 받는 방법 (0) | 2025.02.24 |
---|---|
2025 농식품 바우처 신청기간 신청방법 사용처 (0) | 2025.02.11 |
2025 문화누리카드 신청자격 방법 사용기간 (0) | 2025.02.02 |
2025 긴급돌봄 지원사업 대상 부담비용 신청방법 (0) | 2025.02.02 |
간 초음파 검사 후기(ALT, AST 의미) (0) | 2025.02.01 |